728x90
반응형

IT 3

가목적어의 it 무슨 차이가 있을까??? [영어문법]

우선 오늘은 오랜만에 또 문법공부를 해보자. 사실 카드로 만들려고 했는데 시간이 2배로 걸리는 듯 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버림 가목적어?? 왜 쓰는 것일까?? 가주어에서 공부했듯이 가주어는 주어가 길거나 복잡할 때 쓴다. 그렇다면 가목적어도 그럴까? 역시 그렇다. 목적어가 길거나 복잡할 때 쓴다. 예를 들어 목적어가 to-v 거나 that 절로 길게 받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렇다 5형식문장에서는 to-v, that 절이 목적어로 올 수 없다. 그래서 쓰이는 것이 가목적어 이다. 다시 말해서 가목적어는 5형식문장에서만 쓰인다고 보면 된다. 간단하다. it을 왜 쓰는지 설명했으니 그러한 때에 쓰면 되는 것이고 예문을 통해 그러한 느낌을 익혀보도록 하면 오늘은 끝이다. 그러니까 예문을 한 번 보자. You w..

English/문법 2019.09.08

주어에 대해서, 주어란 뭘까 [영어문법]

영어를 배우다 보면 문장성분이 나오고, 없어서는 안될 성분 주어!그 주어가 뭔지 알아보자(간략하게)주어는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말한다.동사나 주격보어가 수식하는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그리고 1문장에는 주어가 무조건 1개이며 [여기서 명령어는 주어 없는데요? 라고 할 수 있지만(you)가 생략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접속사가 있어야 다른 주어가 붙을 수 있다. 또한 주어가 될 수 있는 것들은 명사 역할이 가능한 것이다.1.명사구2.대명사3.동명사구4.to부정사구 ( 물론 가주어, 진주어로 바꿔서 많이씀)5.명사절 *그러나 여기서 혼동하기 쉬운 것이 있다.1. 명사로도 쓰이고 동사로도 쓰이는 단어2. 형용사처럼 보이지만 명사로 쓰이는 단어 1. 명사로도 쓰이고 동사,형용사로도 쓰이는 단어 prospect..

English/문법 2019.07.02

RAM개론

RAM 이란 Random Access Memory 의 약자로 임의 접근 메모리라는 것인데 대부분 메모리로 통한다. 램의 역할은 CPU의 작업공간인데, CPU와 보조기억장치의 속도의 차이를 줄여준다. 그니까 CPU와 저장장치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곳이다. ? HDD도 있고 SDD도 빠른데 ? 라고 할 수 있는데 램의 속도와 비교해보면 " 아 내가 무슨 소리를 한거지 " 라고 할거다. 그리고 CPU의 데이터 처리속도가 무지막지해서 RAM이 없으면 병목현상이 생긴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의 용량에 비해 램 용량이 부족하여 CPU가 HDD에서 직접 데이터를 불러오는 경우 발생한다. 스와핑이나 페이징이라고 말하는데 RAM 을 더 증설하면 해결될 문제다. ** 병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