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
대표적인 것들만 더 자세히 알아보자
특히 컨테이너의 사용이 거의 정착하다시피 했는데
이렇게 컨테이너에 마운트할 때, 기본 파일 시스템을 알아야 더욱 정확하게 마운트할 수 있다.
꼭 알아보자
/bin
-> Binary
필수적인 바이너리 파일이 저장된 디렉토리
여러가지 커맨드, 시스템 조작을 위한 많은 것들이 포함됨
필수적이지 않은 바이너리들은 /usr/bin 에 저장되어 있음
-> 더 유연한 파일 시스템 구성을 위한 분리
리눅스 배포판마다 다를 수 있음
/etc
-> et cetera
시스템에 필요한 구성(Configuration)을 가지고 있는 디렉토리
대표적으로
/etc/hostname -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
/etc/fstab - 부팅 시 마운트될 파일 시스템 및 저장 장치를 정의
/etc/resolv.conf - DNS (도메인 이름 시스템) 서버 설정을 지정
/etc/ssh/sshd_config - SSH 서버의 설정을 관리
이 또한 배포판마다 다를 수 있음
하위 디렉토리 설정 시, 권한에 따른 문제가 많기 때문에 권한 관리를 제대로 해주어야 함
/lib
-> library
공유로 참조하는 라이브러리를 저장함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도 런타임 메모리를 줄이는 효과를 가짐
해당 라이브러리 사용 시, 각각의 프로그램마다 따로 컴파일할 필요가 없는 장점을 가짐
/sys
-> system
직접 시스템 커널과 통신하여 조작하는 파일들을 가짐
특히 가상 파일시스템으로 작동하여 커널과 원활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함
/usr
-> user
특히 컨테이너 환경에서도 많이 사용하는데
대부분 Read-Only 환경이기 때문에 시스템 운영에 있어서 권한 관리를 철저하게 하고 조작도 조심히 해야 한다.
사용자에 관련된 리소스를 다루는 디렉토리임
/var
-> variable
특히 하위 디렉토리가 많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늘 수 있는 로그와 같은 것들이 가장 대표적인 하위 디렉토리다.
/var/log: 특히 이 디렉토리가 많이 쓰이는데, 시스템 로그, 각종 어플리케이션 로그 등이 저장된다.
이를 통해 많은 문제를 파악하거나 해결할 수 있음
/var/www: 웹서버를 운영할 때, 자주 들락거리는 디렉토리다. 보통 서버 데이터 웹사이트 컨텐츠가 포함된다.
/var/lib: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상태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렉토리
'SRE > Linux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렉토리 역할 - /bin (1) | 2023.12.22 |
---|---|
curl (0) | 2023.01.21 |
Symblic Link, Hard Link (0) | 2023.01.04 |
Register Service, 서비스 등 (0) | 2023.01.04 |
touch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