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라우드/Docker & K8s 10

(2-1) - kube apiserver

kube-apiserver란?kube-apiserver는 Kubernetes 클러스터의 중앙 관리 지점으로, 모든 API 요청을 처리하고 클러스터 상태를 관리함다른 구성요소들은 API 서버를 통해 클러스터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API 서버만이 etcd 데이터 저장소와 직접 상호작용함 아키텍처 및 구성요소 kube-apiserver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짐인터페이스 계층: RESTful API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통신인증 및 권한 부여 계층: 요청의 인증과 권한을 검증어드미션 컨트롤러: 요청을 수락하거나 거부하는 정책을 적용데이터 저장소 계층: etcd와 상호작용하여 클러스터 상태를 저장하고 검색 기술kube-apiserver는 Go 언어로 작성Go 언어: 고성능의 병렬 처리를 지원하는 ..

(2) -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개요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components/ Kubernetes 클러스터 개요Kubernetes 클러스터는 크게 **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과 **노드(Node)**로 나뉘며, 각 구성요소는 클러스터 상태 유지와 애플리케이션 실행 Kubernetes의 모든 컴포넌트는 API Server를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동작 컨트롤 플레인 컴포넌트클러스터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는 컴포넌트로 구성됨.kube-apiserverKubernetes의 중심 엔드포인트로, 모든 컴포넌트와 외부 요청을 받는 HTTP API 서버 역할 수행. 클러스터 상태에 대한 모든 요청과 명령은 여기서 처리됨. etcd클러스터 전반의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1) -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전통적 배포단일 물리 서버 기반 실행하나의 물리 서버에서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리소스 충돌 문제 발생특정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가 서버 자원을 독점함에 따라, 다른 애플리케이션 성능 저하 문제 발생.물리 서버 분리 실행 시도각 애플리케이션을 별도의 물리 서버에서 실행하려는 방식 도입. 하지만 리소스 활용률 저하 및 높은 유지 비용 문제 발생.가상화된 배포가상 머신(VM) 기술 도입단일 물리 서버에서 여러 VM을 실행하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분할하는 방식.격리성과 보안성 확보VM 간 애플리케이션 격리를 통해 정보 접근 제한 및 보안성 향상.유연한 리소스 활용 가능성 확보리소스를 클러스..

Docker_Window

Window Docker는 Window에서도 사용이 가능함 → 다만 Linux 환경과 다르게 사용해야 함 Window에서는 Hyper-V 기능을 사용하여 Linux Container를 실행시킬 수 있음 하지만 Linux Kernel을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만큼 overhead 가 발생하고 복잡성이 증가함 **Docker Desktop(유료, 무료)를 통해 더욱 쉽게 Docker Engine과 Docker CLI 사용 가능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sl/tutorials/wsl-containers - 도커 데스크톱 뿐만 아니라 Linux를 WSL을 사용하여 Linux 환경을 구성할 수 있음 WSL2로 Docker Engine 설치, Docker CLI 설치..

구글 스터디잼

https://sites.google.com/view/studyjam-kr/home 2022 클라우드 스터디 잼 sites.google.com 위의 링크에서 스터디를 하느라 한동안 블로그에 글이 없었다. 여러가지 공부를 하느라 바빴다. 솔직히 GCP가 팔아먹기 위해 제공하는 튜토리얼이지만 구글이 어떻게 구성해놓았는지, 어떻게 구조를 짜놓았는지는 항상 배울점이 있다. 그래서 쿠버네티스 전반적인 것을 공부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튜토리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더군다나 퀘스트, 실습까지 주어져 괜찮은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오늘 끝냈으니 조금 쉬어야 겠다.

K8s, Kubernetes - 기본 개념 (추가 중)

쿠버네티스 공식홈페이지가 있지만.. 그것보다 쉬운 설명이 있다고 믿고.. 내가 더 쉽게 쓸 수 있다고 믿는다. 이를 읽음으로써 더 이해가 잘 간다면 피드백 부탁한다. 원하는 용어는 Ctrl + F 로 잘 찾기를 바란다. 쿠버네티스 오브젝트(Kubernetes Object)란 무엇일까?? 쿠버네티스 시스템 안에서 영속성(persistence)를 가지는 오브젝트이다. 클러스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체이다. 영속성...? 계속 끝까지 남아있는다는 말인가??? 그럼 왜 그 오브젝트가 남아있어야 하는데?? 오브젝트는 쿠버네티스를 운영하는데 많은 정보들을 제공해준다. 3가지만 말해보자면 어떤 컨테이너화 된 어플리케이션이 어느 노드에서 동작 중인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할 수 있는 리소스는 뭔지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쿠버네티스 - Probe

쿠버네티스에 대해 공부하다보니 학습량이 무지하게 많아졌다. 하지만 재밌어 보여서...ㅋㅋㅋㅋ 공부해보자 Probe란 무엇일까? Probe는 컨테이너에서 kubelet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진단이다. 그 진단은 health check라고도 부르는데 뭐 그렇다.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이유가 뭐야?? 주기적으로 체크한 후 문제가 있는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재시작하거나 문제가 있는 컨테이너를 서비스에서 제외시키기 위한 것이다. 컨테이너 자동 재시작으로 다시 원활히 돌아간다면 다행이지만 문제가 생긴다면 그 즉시 그 컨테이너를 서비스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그 컨테이너가 동작하지 않음에도 계속 접근해서 무엇인가 제공받으려고 한다면 그것이 문제기 때문이다. kubelet은 컨테이너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핸들러를 호출..

쿠버네티스 - 디플로이먼트 yaml 파일 예시, Kubernetes - Deployment.yaml sample

apiVersion: apps/v1 #반드시 선언되어야함 kubernetes 버전 참고 kind: Deployment #반드시 선언되어야함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의 종류 metadata: #반드시 선언되어야함 name: #오브젝트의 unique한 이름 namespace: #일반적으로 namespace를 지정해줌 resourceVersion: generation: 30 creationTimestamp: labels: #쿠버네티스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것임 , 일반적으로 Selector에서 이용하기 위해 선언 app: random annotations: #어노테이션은 오브젝트를 식별하거나 선택할 때 쓰지 못한다. 하지만 레이블에서 허용되지 않는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https://kubernetes.io..

쿠버네티스 기본 개념

핫한 기술인 컨테이너부터 시작해서 쿠버네티스까지 학습해보자 노드, Node 더보기 Pod가 동작하는 곳 Pod 는 항상 노드 위에서 작동한다. 컨테이너 런타임(도커와 같은)은 레지스트리에서 컨테이너 이미지를 가져와 묶여 있는 것을 풀고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책임을 맡는다. 쿠버네티스에서 노드란 워커머신을 말하며 클러스터에 따라 가상 또는 물리 머신이 된다. => 물리적 단위, 논리적 단위 둘 다 된다는 뜻. => 하나의 노드는 여러 개의 Pod를 가질 수 있음. =>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은 클러스터 내 노드를 통해서 Pod에 대한 스케줄링을 자동 처리함. ** 다시 말하면 노드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Pod 에 접근(외부에 IP 노출) Kubelet이란? 더보기 쿠버네티스 컨트롤 플레인과 노드 간..

Docker, 도커의 개념

요즘에 뜨고 있는 것은 아니고 요즘 그냥 핫해서 배우지 아니 아니 아니 아니할 수 없어서 알아봤다. *2023.08.06 업데이트 컨테이너란 무엇인가? - 우리가 겪는 어려움 우리가 쓰는 많은 프로그램들은 환경 의존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본적인 프로그램조차 종속성이 많고 엄청난 수의 패키지, 라이브러리 기타 소프트웨어의 구성에 부합해야 실행할 수 있다. 심지어 동일한 운영체제에서조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프로그램을 쓰는 환경 (ex. OS, 프레임워크 등)이 달라지거나 버전만 달라져도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정상 작동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 또한 관련된 구성을 유지하는 것과 같은 관리가 어렵다. - 가상 머신의 등장 지난 수년 동안 종속성 문제를 해결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