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Python 에서의 split 함수를 보자 2개의 인자를 받는다 1. delimiter, 구분자 2. 해당 문자열 알아봤다면 시작해보자 그렇다면 우리는 우선 가장 흔한 공백을 기준으로 만들어보자 막연하게 드는 생각은 공백을 만나면 공백을 만나기 전까지의 모든 문자열을 어떠한 컨테이너에 넣고 문자열을 다시 진행하면 될 것 같다. 즉, 문자열을 하나하나 조사한다는 말이다. 공백을 만나면 그때까지의 문자열을 다시 집어넣고 다시 공백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탐색한 후 다시 반복한다. 만약 문자열이 끝나면 끝나게 된다. 대충 이런 생각으로 짠다. 위에서 아이디어를 뽑아보자면 1. 문자열을 하나하나 조사할 것임 2. 공백만났을 때 하는 행동 3. 문자열의 끝에 닿았을 때 하는 행동 C++에서 알다시피 문자열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