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Computer Science)/컴퓨터보안(Computer Security)

Elgamal 암호 방법 [컴퓨터보안]

게임이 더 좋아 2020. 5. 15. 09:44
반응형
728x170

오늘은 RSA 다음으로 Elgamal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이산 대수를 구하는 것이 어려운 것을 이용한다.

영어로는 (Discrete Logarithm Problem, DLP)

 

암호문의 길이가 2배가 되어버린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는 암호이다.

 

 

어디서 많이 본 식이네??

암호화 할 때 이 식을 사용할 것이다.

 

P가 소수이고, g 가 원시근일 때,  y,g,p를 알고 x를 구하는 것으로 계산한다.

P가 큰 소수일 때 x를 구하는 것은 시간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Elgamal 암호에서는 x가 개인키, y가 공개키로 사용된다.

 

 


그 전에 알아야 할 것이 몇 개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원시근(primitive root)란

(n)집합 A가 있고 원소로는 {a,b,c,d}를 포함하고 있을 때, a부터 d까지 차레로 원소 값 하나씩 거듭제곱하여(a,a^2,a^3,…) 양의 정수 n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집합 A의 원소 값{a,b,c,d}를 전부 포함하고 있는 원소 값을 찾습니다. 만약 원소 b가 집합A의 값을 다 가진다면 b는 n의 원시근이 된다.

 

5를 예로 들자면

2와 3만이 원시근이다

 

2,4,8,16,32,.. mod5를 하면 2,4,3,1, …. {1,2,3,4}를 가진다.

3,9,27,81,… mod5를 하면 3,4,2,1,….. {1,2,3,4}를 가진다.

 

++위수란

예를 들자면

1이 되는 최소의 자연수가 2나 5가 6으로 제일 크다.

 

하지만 Elgamal 암호에서는 a는 소수가 된다. 그래서 위에 식에서

X가 키의 개수가 되고 사용할 수 있는 키의 개수는 x-1개가 된다.

 

 

 

 


 

 

 

그래서 실제로 어떻게 암호를 하느냐??

 

 

 

1. BOB이 개인키공개키를 만든다. 

 

**2와 p-2 사이의 정수를 고르는 이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키의 개수는 1 ~ p - 1까지 사용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제외된다.

개인키가 1일 경우 : 공개키가 원시원소가 되고 이를 통해 개인키를 유추할 수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원시원소는 공개되기 때문)

개인키가 p - 1일 경우 : p - 1을 제곱할 경우 나머지가 1이 되기 때문이다. 즉, 공개키가 1이 되고 위와 마찬가지로 개인키를 유추할 수 있다.

2. ALICE가 BOB에게 받은 공개키로 K를 만든다.

r는 0부터 p-1 사이의 랜덤 수이다.

r이 랜덤 수이기 때문에 암호화를 할 때마다 다른 K 값이 나와 같은 평문이라도 다른 암호문이 나오게 된다.

3. ALICE는 최종 암호문인 C를 생성한다.

C1 : BOB이 K 값을 BOB의 개인키로 알 수 있게 하는 암호문이며 r을 공개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암호문으로 보낸다.

C2 : 실질적인 암호문. 평문과 K를 곱해 p로 나눈 나머지 값이다.

4. BOB이 자신의 개인키로 K를 얻고 암호문을 복호화 한다.

자신의 개인키로 C1을 복호화 하여 K를 얻는다.

K로 C1을 나눠 p로 나눈 나머지 값을 구하여 암호문으로부터 평문을 얻는다.

 

※ K 값을 얻을 수 있는 이유

 

 

예를 들어서 숫자를 넣어보면

 

M이 평문 p는 소수 a가 원시근이라 보면 되겠다.

1
2
3
4

 

 

**이러한 mod 를 쓸 때 오일러 법칙이 정말 도움된다.

 

 

취약점을 살짝 말하자면 2가지 정도??

 

 1) 작은 모듈러스 공격(Low-Modulus Attack)
   - p의 값이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 전수 조사나 이산대수의 성질 을 이용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통하여 개인키 d나 임의의 값 r을 찾아낼 수 있다. p는 적어도 2048 비트

 2) 알려진 평문 공격(Known-Plaintext Attack)
   - 평문 m에 대응하는 암호문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