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복호 2

블록체인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 - 단방향 해시함수, 일방향 해시함수

[컴퓨터(Computer Science & Engineering)/컴퓨터보안(Computer Security)] - 컴퓨터보안 : 일방향 해시함수 사실 이미 글을 썼다. 참고하자. 더 알아보자 블록체인에서 단방향 해시함수가 어떻게 쓰이느냐? 디지털 문서가 조금이라도 손상되면 즉시 감지할 수 있는 특성, 즉 무결성(integrity)이 보장되기 때문에 어떤 디지털 문서를 가리키는 ID로 사용된다. 이전의 글에서 SHA-1은 수명이 다 되어 죽었다고 말했다. 현재 2021년 봄, 블록체인에서 현재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은 SHA2 - 256이다. 우선 해시함수가 뭔지부터 알아보자. 함수라는 이름에 걸맞게 함수에 임의의 입력값을 넣었을 때 값을 반환한다. 하지만 해시 함수는 어떤 값을 반환할 지 예상할 수 없..

블록체인을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 - 공개 키 암호

물론 컴퓨터보안에서도 다룬 암호학지식이지만 블록체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들이 조금있다. 알아보자 블록체인은 암호화 기술 기반으로 구현된다. 블록체인은 암호화 기술의 특성을 이용해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암호화 기술의 장점을 누릴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현재의 암호화 기술은 모두 수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즉, 옛날에는 몰라서 못푼다면 지금은 알고도 못푼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암호화, 복호화, 키를 만드는 것은 어렵지 않다는 말이다. 대표적으로 우리는 대칭 키 암호, Symmetric Key Cryptography 공개 키 암호, Public Key Cryptography 2가지를 많이 사용한다. **블록체인에서는 공개 키 암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다른 암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