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그래프의 연결 상태를 표현할 때 우리는 배열로 많이 하곤 한다. 하지만 행렬을 이용했을 때 가장 큰 문제점은 노드의 개수의 제곱에 비례하는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노드의 개수 범위가 만약 100000이라면 십만의 제곱은... 우선 0이 10개다. 10억이다. int로 저장했다면 10억 * 4byte = 40억 byte 다. 그러면.. 약 3기가 바이트.. 그래서 우리는 굳이 연결되지 않은 부분까지 저장하기는 그래서 인접리스트로 저장하기로 했다. 그렇게 되면 실제로 연결된 부분만 저장할 수 있다. 즉, vector을 원소로 하는 vector 또는 array를 만들어 해당 인덱스랑 연결된 노드들의 정보를 넣는 것이다. 실제로 이는 문제풀이할 때 노드의 수로 초과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유용하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