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컴퓨터(Computer Science) 205

정보의 특성 [컴퓨터보안]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정보에 대한 특성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야한다. 저번 삼각형을 봤지만 그 이외에도 있어서 한 번 소개해본다. 가용성(availability)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인증(authentication) 부인방지(nonrepudiation) // 데이터를 수신했지만 수신하지 않았다고 부인 소유권(possession) 정확성(accuracy) 활용성(utility) 이러한 특징들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보호를 하기 위해서 어떤 특성을 이용해야하느냐는 밑에 그림에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보호해야할까? 소프트웨어 // 취약점을 가짐 하드웨어 // 취약점을 가짐 데이터 인적 요소 // 가장 보호하기 어려움, 모든 정보유출의 통제할 수 없는 변인 ..

저장구조, 입출력 구조, 메모리 특징[운영체제]

먼저 살펴볼 것은 Storage structure 이다. 왜 배우냐면 우선 프로그램은 실행되기 전에 memory에 load가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memory에 불러오는 과정까지가 프로그램의 일부라는 것인데 배워야한다는 느낌이 온다. ㅎㅎ 우선 컴퓨터는 rewritable memory라고 불리는 main memory에 load를 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대표적으로 RAM, random access memory라고 부른다. semiconductor를 이용한 main memory는 DRAM이라고 부른다.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준말이다. **보통 volatile이다. 휘발성으로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를 잃는다. ++컴퓨터는 물론 다른 메모리형식도 사용한다. 우선 boot..

정보 보호의 의미, 보안의 종류 [컴퓨터보안]

정보 보호라는 것은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중에 정보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 기술적 수단, 또는 그러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거꾸로 보면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중에 내가 원하는 정보가 거짓일 수도 있는 것이고 송신 중에 유출 될 수 도 있는 것이고 6가지 정도의 위협이 있다는 말과 같다. 정보는 가용성과 안전성이 있어야한다. 가용성은 활용하기 쉽다. 안전성 보호하기 쉽다. 가용성과 안전성은 서로 trade-off 관계를 가지고 있다. 상충된다는 소리다. 가용성이 높아지면 안전성은 낮아지고, 그렇다면 우리는 정보보호를 어떻게 하고있을까?? 현재에는 보안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상태이고 유선 보안에서 무선 보안 문제로 진화되었다...

우리가 컴퓨터 보안을 배우는 이유

요즘 시대는 스마트라는 단어를 붙혀서 설명하고 한다. 그만큼 무엇인가 편리해졌고 접근성이 올라갔다는 의미이다. 그 중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을 "스마트 환경" 이라고 표현하는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비용으로 고성능 컴퓨팅 기능을 사용해 인간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드는 환경이라고 정의한다. 그렇게 만들어 주는 요소들은 1. 수월한 원격 장치 제어 // 가전 제품, 보일러, 가스 등 집이 아닌 장소에서 제어가능 2. 원활한 네트워크 // 유선, 무선의 활발한 보급과 높은 속도와 안정성 3. 원활한 정보수집 , 배분 4. 편리한 서비스 // 누구든 접근 가능하고 쉬운 이용방법 5. 정확한 예측 및 의사결정 가능 시스템 // ex) 경보시스템 이러한 것들이 우리 주변에 있다. 우리가 편히 살 수..

Operating System - 컴퓨터 시스템 구조 [운영체제]

우선 컴퓨터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냐 보자면 1개 이상의 CPU, common bus에 연결된 수많은 device controllers *bus는 components와 memory를 공유한다. 이렇게 생겼다. device controller 는 local buffer storage, special-purpose registers 를 가지고 있다. 얘는 device와 local buffer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맡고있다. 보통 device driver를 device controller마다 가지고 있다. 얘는 device와 OS간의 다리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되겠다. OS가 직접 device를 접근하는 것이 아닌 Instruction을 보내면 Controller가 작동한다. 쉽게 말하면 OS가 devic..

Operating System - 정의 [운영체제]

우선 OS(operatingh system)이 무엇인지 한 번 더 짚고 넘어가자 A program that acts as an intermediary between a user of a computer and the computer hardware 유저와 하드웨어를 이어주는 인터페이스역할을 한다. 운영체제란 간단히 말하자면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다. 운영체제의 3가지 목표가 있다. 1. Execute user programs and make solving user problems easier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직접 유용한 기능은 못하지만 다른 프로그램이 유용한 기능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2. Make the computer system conveni..

CPU 기본구조와 프로세서, Processor [컴퓨터구조]

배웠던 것부터 다시 살펴보고 배울 것을 살펴보자 우선 컴퓨터의 성능은 연산속도와 비례했고 그것은 CPU의 성능과 직결된다. CPU 성능은 클럭속도와 CPI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MIPS를 통해 파이프라인을 알아볼 것이다. 해당 Instruction을 실행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PC가 instruction을 가리키고 해당 Instruction을 decode하여 레지스터를 이용하고 해당 opcode와 같은 operation에 따라서 무엇을 할 지가 결정이 된다. 이 모든 것을 하는 CPU는 어떻게 생겼나 Abstraction 된 것을 보자. **실제와는 다르다. 특징을 보면 위의 Instruction의 실행과 똑같다. 1. PC를 전달하고 PC는 PC + 4 연산이 진행된다. 2. 해당 PC +4 된..

소프트웨어공학을 배웠다면 대답이 가능한 질문들

1. 소프트웨어 공학은 어떤 문제를 다루기 위한 것이고 구체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2. 소프트웨어 개발 작업의 세가지 큰 영역은 무엇이고 각 작업의 목표는 무엇인가? 3. 개발 프로세스 단계별 결과 작업물이 무엇인지 아는가? 예를 들어 아키텍쳐 설계, 사용자 매뉴얼 초고, 비용 예측은 어느 단계의 결과물인가? 4. 소프트웨어의 유지 보수에 초점이 맞춰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소프트웨어 공학이 다른 공학(기계 공학, 토목 공학, 건축 공학 등) Physical Engineering 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엔지니어링 방법 측면에서) ///////////////////////////////////////////////////////////////////////////////////////////////..

소프트웨어공학(4) 개발자가 알아야 하는 지식체계(SWEBOK)

SWEBOK(Software Engineering Body Of Knowledge) 컴퓨터 학회인 IEEE(Institute of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ing) 산하의 소프트웨어 공학 표준위원회와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가 작업해서 만들어졌고 지금은 V 3.0 까지 나왔다. 다운받고 싶으면 링크로 들어가면 된다. https://www.computer.org/education/bodies-of-knowledge/software-engineering/v3 우선 11개의 주요 영역이 있다. 세부적인 것을 살펴볼 수는 없지만 겉핥기나마 해보자 ㅎㅎ 1. 소프트웨어 요구분석 사용자 요구의 추출, 분석, 검증, 관리 2. 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