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접근제한자 2

static과 static public 의 차이, 정적 변 [Unity]

조금 궁금한 주제였다. 근데 알아볼 기회가 생겨서 바로 알아봤다. 우선 우리는 Static은 정적선언이고 Stack 영역에 저장되어 프로그램이 내려가기 전까지 계속 있을 것이란 것을 알고 있다. 그렇다면 어차피 정적인데 아무데서나 public을 붙이나 마나 불러올 수 있는 것 아니냐??? 라는 의문이 든다. 사실 그렇지 않다. 구분하는 이유가 있었다. 접근제한자를 설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protected로 암묵적으로 선언된다. 즉, 자신을 포함한 Children만 사용이 가능해진다. static으로만 선언하면 다른 클래스에서는 불러올 수 없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static 과 static public의 차이다. 아래 글도 참고하자. [Unity, 유니티/Basic, 기본] - Static M..

C#, Unity에서의 접근제한자,Access modifier [Unity]

물론 C#을 이용하는 사람이 모두 Unity를 쓰는 것은 아니겠지만.. 난 Unity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어차피 C#도 똑같다. 종류는 4가지가 있다. private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 즉, 동일 클래스나 구조체 내의 멤버만 접근 가능하다. public 모든 곳에서 해당 멤버로 접근이 가능. 여기서 말하는 모든 곳은 inherit class를 포함한 정말 모든 외부를 말한다. internal 같은 어셈블리에서만 접근이 가능. protected 클래스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으나 파생 클래스에서는 접근이 가능. public + private이라고 보면 된다. 약간 mixed 되어 있다. ++ protected internal( 결합) 같은 어셈블리에서만 protected으로 접근이 가능. 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