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Computer Science)/네트워크, Network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Uni, Broad, Multi)

게임이 더 좋아 2021. 9. 4. 13:58
반응형
728x170

 

접두사만 바뀌고

다 cast가 붙는다.

cast는 던지다라는 뜻으로

uni- 하나

broad - 사방

multi - 다중

의 뜻과 합쳐져 쓰인다.

 

 

 


 

 

그렇다면 네트워크에서 던지는 것은 뭘 던진다는 것일까?

뻔하다. 데이터다.

 

3가지 용어는 통신 방식의 차이이다.

 

유니캐스트부터 알아보자

일단 통신이 되려면 전송되는 프레임,Frame 에 출발지 주소, 목적지 주소, MAC address가 쓰여있어야 한다.

즉, 주소를 쓸 때 하나의 PC에 대해서만 쓰여야 한다는 말이다.

편지와 같다.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만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게 바로 Unicast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PC가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보내면

로컬 네트워크 상의 모든 PC들은 일단 이 프레임을 받아들여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와 비교한다. 

다른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을 버린다.

**해당 프레임을 처리하지 않고 버리는 것으로 CPU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유니캐스트는 하나의 목적지 주소만을 가지고 통신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브로드캐스트는 무엇일까?

 

역시 이름값답게

LAN에 들어있는 모든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 방식이다.

라우터에 의해서 구분되어진 공간을 의미하는데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라고도 부른다.

**라우터가 다른 네트워크로 패킷이 가는 것을 막는다.

 

즉, 브로드캐스트는 통신의 대상이 특정 장비가 아니라

내가 속하는 네트워크 전체의 장비와 통신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SBS,MBC,KBS에서 B가 무엇의 약자인지 아는가?

그것과 같은 원리다.

방송국에서만 송출을 하지만 해당 티비는 전국에서 다본다. 비슷한 원리다.

 

이것은 특이한 것이

내가 받기 싫다고해서 유니캐스트처럼 프레임을 버릴 수 없다.

무조건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브로드캐스트의 주소는 이미 정해져있는데 해당 주소가 네트워크 장비에 들어오면

해당 맥 주소가 나와 다르더라도 무조건 이 패킷을 CPU에 보내 처리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브로드캐스트를 남용하면 CPU의 성능이 저하되기도 한다.

 

그래서 필요할 때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처음에 2개의 PC 간의 통신을 위해서 상대편의 MAC address를 알고 싶을 때

상대편의 IP를 통해서 알아내려고 한다.

IP 주소를 ARP를 통해서 바꾸는데 ARP가 바로 브로드캐스트이다.

 

뭐 이것 말고도 많은 쓰임이 있지만 브로드캐스트는 꼭 필요하지만 남용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마지막으로는 Multicast이다.

멀티캐스트는 전부 보내긴 싫고 한 명만 하고 통신을 할 건 아니고

전체가 아닌 다수와 통신할 때 사용한다.

 

즉, 선택적으로 패킷을 보낼 수 있다는 말이다.

나머지 설명은 위와 다를 바가 없다.

 


 

이렇게 패킷과 같은 것을 전송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