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www.youtube.com/watch?v=OTwp3xtd4dg
위의 영상을 기반으로 작성하였다.
TCP/IP Model
TCP/IP 모델이란 OSI 모델과 비슷하지만 다르다.
우선 이렇게 생겼다.
4가지 계층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옛날의 모델이고 지금은 갱신되어서 다른 형태를 띈다.
그렇다면 원래 것과 비교해보자면 어떨까?
이런 식으로 생겼다.
그렇다면 OSI 모델과 비교하면 어떨까??
이렇게 생겼다. 이제 TCP/IP 모델에 대해 직접 알아보자
각자 계층마다 다른 프로토콜이 있는데 5가지 계층마다 다른 프로토콜이 있다.
모든 것이 OSI 모델과 비슷하게 진행된다. 다만 계층이 좀 다를뿐이다.
Data가 5번째 계층에서 다른 계층으로 전달될 때마다 헤더가 추가된다. 각 헤더마다 가지고 있는 정보가 다르다.
각 계층마다 데이터가 불리는 이름이 달라진다.
5 계층에서는 Data 그대로 불리지만 4 계층에서는 Segment ,
3 계층에서는 Packet, 2 계층에서는 Frame 이라고 불린다.
내려올 때는 헤더가 추가되어서 내려오지만 다시 계층을 거슬러 올라갈 때는 헤더를 해석하면서 헤더를 제거하면서 올라간다. MAC -> IP -> TCP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컴퓨터(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핑과 추적루트, PING and TRACERT(traceroute) (0) | 2020.11.16 |
---|---|
물리적계층(Physical Layer) 개론 - 1 (0) | 2020.11.11 |
NAS, SAN의 서버 저장방식 차이 (0) | 2020.11.07 |
POP3 vs IMAP ( ++ SMTP) 이메일 서버의 작동방식 차이 (0) | 2020.11.07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란?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0) | 2020.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