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개요
각 상품에서 우리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알아봄
이것은 비교를 하기 위한 글이 아님
미리 말하고 시작함
vs 문제가 아니라 둘 다 만들어야함
개설?
소득이 있다면?
-> IRP, 연금저축계좌 둘 다 만들자
없다면?
-> 연금저축계좌 만들자
혜택? 중복혜택?
세액공제
납입금 총액 (IRP + 연금저축계좌)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연금저축계좌 단독으로는 600만원까지만 가능
IRP 단독으로는 900만원까지 가능
과세이연
둘 다 똑같이 배당으로 발생하는 세금 또는 이자로 발생하는 세금을 내지 않음
각 얼마나 넣어야할까?
중도인출에 대한 부담이 크다면
인출이 불가능한 IRP 대신에 연금저축계좌에 더 넣는 것을 추천함
600:300 정도로 분할함
아니라면 금융기관마다 하나씩 IRP 계좌를 생성할 수 있는데
여러 개의 IRP 계좌를 만들어서 이직 시, 퇴직금을 분할한다면
중도인출을 하더라도 큰 금액까지 건드리는 일 없이 할 수 있음
*연금저축펀드도 마찬가지
투자할 수 있는 자산이 다르다는데?
IRP는 퇴직이라는 조건이 붙어있기 때문에
위험자산에 모두 투자할 수 없다.
만약 위험자산에 투자하고 싶다면 연금저축의 비율을 높이자
요약
둘 다 만들어서 최대한 세액공제 받고
위험자산(펀드, ETF)에 투자하고싶다면 연금저축계좌에 더 많이 넣자
참고링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경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 (2) IRP 알아보기 (2023.12.04) (1) | 2023.12.04 |
---|---|
퇴직연금 - (1) 퇴직연금 알아보기 (0) | 2023.12.03 |
연금저축 - (1) 연금저축을 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 (2023.12.03) (0) | 2023.12.03 |
스탠포드, 엔지니어를 위한 재무 관리(2)- PREDICTABLY IRRATIONAL (0) | 2023.07.30 |
스탠포드, 엔지니어를 위한 재무 관리(1)- Introduction (0) |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