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날 반도체는 삼성이다.
뭐다 이렇게 듣고자라오니까 RAM도 무조건 삼성이다. 라고 알고있는 사람이 많다.
시금치램이라도 삼성이라고, 믿고 쓰는 삼성이라고 합디다.
어느정도 동의는 하는데, 무조건 삼성은 아닌 것 같다.
램을 만드는 회사 정말 많은데, 안정성, 성능의 이유로 삼성만 고집하는 사람이 있는 걸로 알고있는데
아무튼 맘 편하게 삼성램 쓰는 것도 좋지만 그렇다면 이 글을 쓰는 이유가 없다.
어떻게 효율적으로 RAM을 고를까 한 번 알아보자.
효율적으로 고른다는 건 성능/값 이 높다는 것이다. 돈이 많으면 고민 할 필요있나?
아무튼 그렇다면 성능을 봐야하는데 간략히 설명하겠다.
DDR4 4G PC4-21300 CL16 이렇게 써있다 치면
DDR4는 규격인데 뒤에 붙은 숫자가 1이 커지면 동작 속도는 2배가 된다.
** DDR3랑 DDR4램은 달라서 억지로 꽂으면 컴퓨터 ㅃㅃ할 수 있다.
4G는 메모리 용량 크면 좋다. 무어의 법칙으로 인해 2배씩 집적도가 향상
**5G짜리 메모리는 없다는 말.
21300은 대역폭 크면 좋다.
쉽게 말하면 한 번으로 얼마만큼 일하느냐?
**대역폭이 다른 RAM들을 섞어서 쓰면 제 성능을 못낸다.
CL16은 램타이밍 쉽게 말하면 한 번 일하는데에 얼마나 걸리냐?
낮으면 좋다.
그렇다고 해서 낮을수록 좋은 건 아니다.( 램오버)
이렇게 성능을 판단하고
예를 들어 램 2가지가 있는데
삼성 8G PC4-21300 CL16 와 하이닉스 8G PC4-21300 CL16있으면 싼 거 사면 된다. (램오버 안할거면)
이 글을 쓴 이유는 무조건 삼성이 아니라 자기가 쓰는 용도에 맞춰서 쓰라는 것이다.
삼성램이라고 램오버 무조건 잘먹는 것X다른 회사 램이라고 램수율 떨어진다는 아니다.
케바케니까 적절하게 쓰는게 좋다.
'컴퓨터, IT 지식 > Hard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카드 VGA 개론 (0) | 2019.07.20 |
---|---|
CPU개론 (0) | 2019.06.29 |
RAM개론 (0) | 2019.03.24 |
SSD개론(미완성) (0) | 2018.12.09 |
메인보드 개론 (0) | 2018.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