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420

암호의 특성, 원리 [컴퓨터보안]

정보 보호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 암호 암호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우선 암호에서 예를 들때 사람이름을 많이 쓰는데 Alice and Bob 데이터의 송/수신자를 뜻한다 Eve 소극적인 공격자로 (eavesdropper)를 한다. 도청은 하지만 정보를 수정하지는 못한다. 나중에 양자 암호에서는 통신환경을 뜻하기도 한다. Mallory 적극적인 공격자, 악의적인 공격자(malicious)로 이브와는 다르게 정보를 수정하고, 자신의 메세지로 대체하여 재전송하는 등 이브보다 막기 어려운 공격을 수행한다. Trent 영어로 (trusted arbitrator)로 신뢰할 수 있는 중재자를 뜻한다. 중립적 제 3자를 말하고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그 역할이 달라진다 Victor 영어로 verifier를..

정보의 특성 [컴퓨터보안]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정보에 대한 특성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야한다. 저번 삼각형을 봤지만 그 이외에도 있어서 한 번 소개해본다. 가용성(availability)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인증(authentication) 부인방지(nonrepudiation) // 데이터를 수신했지만 수신하지 않았다고 부인 소유권(possession) 정확성(accuracy) 활용성(utility) 이러한 특징들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보호를 하기 위해서 어떤 특성을 이용해야하느냐는 밑에 그림에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보호해야할까? 소프트웨어 // 취약점을 가짐 하드웨어 // 취약점을 가짐 데이터 인적 요소 // 가장 보호하기 어려움, 모든 정보유출의 통제할 수 없는 변인 ..

클라우드 컴퓨팅

https://www.youtube.com/watch?v=uroryFU78gM 영상의 요약 및 정리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저장소, 네트워킹, 응용프로그램 그리고 서비스까지 통틀어서 이것을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칭한다. 1. On-demand self-service(주문형 서비스) 언제든 원하는 만큼 IT자원들을 이용할 수 있다. 빠르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다. 2. Broad network access (호환성) 네트워크만 연결되면 어떠한 장비에서도 어떠한 환경에서도 클라우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3. Resource pooling(자원 공유) 저장소에 데이터를 모을 수 있고 다양한 계층에게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는 장소이다. 4. Rapid Elasticity(기능 탄력성) 데이..

저장구조, 입출력 구조, 메모리 특징[운영체제]

먼저 살펴볼 것은 Storage structure 이다. 왜 배우냐면 우선 프로그램은 실행되기 전에 memory에 load가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memory에 불러오는 과정까지가 프로그램의 일부라는 것인데 배워야한다는 느낌이 온다. ㅎㅎ 우선 컴퓨터는 rewritable memory라고 불리는 main memory에 load를 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대표적으로 RAM, random access memory라고 부른다. semiconductor를 이용한 main memory는 DRAM이라고 부른다.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준말이다. **보통 volatile이다. 휘발성으로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를 잃는다. ++컴퓨터는 물론 다른 메모리형식도 사용한다. 우선 boot..

정보 보호의 의미, 보안의 종류 [컴퓨터보안]

정보 보호라는 것은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중에 정보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 기술적 수단, 또는 그러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거꾸로 보면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중에 내가 원하는 정보가 거짓일 수도 있는 것이고 송신 중에 유출 될 수 도 있는 것이고 6가지 정도의 위협이 있다는 말과 같다. 정보는 가용성과 안전성이 있어야한다. 가용성은 활용하기 쉽다. 안전성 보호하기 쉽다. 가용성과 안전성은 서로 trade-off 관계를 가지고 있다. 상충된다는 소리다. 가용성이 높아지면 안전성은 낮아지고, 그렇다면 우리는 정보보호를 어떻게 하고있을까?? 현재에는 보안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상태이고 유선 보안에서 무선 보안 문제로 진화되었다...

우리가 컴퓨터 보안을 배우는 이유

요즘 시대는 스마트라는 단어를 붙혀서 설명하고 한다. 그만큼 무엇인가 편리해졌고 접근성이 올라갔다는 의미이다. 그 중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을 "스마트 환경" 이라고 표현하는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저비용으로 고성능 컴퓨팅 기능을 사용해 인간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만드는 환경이라고 정의한다. 그렇게 만들어 주는 요소들은 1. 수월한 원격 장치 제어 // 가전 제품, 보일러, 가스 등 집이 아닌 장소에서 제어가능 2. 원활한 네트워크 // 유선, 무선의 활발한 보급과 높은 속도와 안정성 3. 원활한 정보수집 , 배분 4. 편리한 서비스 // 누구든 접근 가능하고 쉬운 이용방법 5. 정확한 예측 및 의사결정 가능 시스템 // ex) 경보시스템 이러한 것들이 우리 주변에 있다. 우리가 편히 살 수..

Operating System - 컴퓨터 시스템 구조 [운영체제]

우선 컴퓨터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냐 보자면 1개 이상의 CPU, common bus에 연결된 수많은 device controllers *bus는 components와 memory를 공유한다. 이렇게 생겼다. device controller 는 local buffer storage, special-purpose registers 를 가지고 있다. 얘는 device와 local buffer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맡고있다. 보통 device driver를 device controller마다 가지고 있다. 얘는 device와 OS간의 다리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되겠다. OS가 직접 device를 접근하는 것이 아닌 Instruction을 보내면 Controller가 작동한다. 쉽게 말하면 OS가 devic..

Operating System - 정의 [운영체제]

우선 OS(operatingh system)이 무엇인지 한 번 더 짚고 넘어가자 A program that acts as an intermediary between a user of a computer and the computer hardware 유저와 하드웨어를 이어주는 인터페이스역할을 한다. 운영체제란 간단히 말하자면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다. 운영체제의 3가지 목표가 있다. 1. Execute user programs and make solving user problems easier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직접 유용한 기능은 못하지만 다른 프로그램이 유용한 기능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2. Make the computer system conveni..

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서 데이터 과학(Data Science)가 중요한가?

https://www.youtube.com/watch?v=Ta2xatM9UBE 영상의 요약 및 정리 데이터 양이 엄청나게 커짐에 따라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 정보를 이끌어내는가? 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local로 이러한 정보를 다룬다면 제한된 자원, 느린 프로세스 작업, 하나의 실수가 작업정지까지 이르는 파급력(single point of failure), 실시간 작업 미반영 등 어려움이 따른다. 그렇다면 server를 구축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Server는 그렇지만 초기 비용이 너무 크게 든다. 그에 따른 또 다른 방안이 cloud이다. Cloud는 초기 비용이 거의 들지 않을 뿐더러 접근성이 뛰어나고 서버와 다르게 쓴 만큼 비용을 내니까 경제적이다. 이러한 ..

반도체(4) DOS , Thermal equilibrium (열적평형)

DOS가 뭐냐 도스가 아니라 Density Of State 이다. 뭐 그냥 해석하면 상태밀도라는 것인데 저번에 말했다시피 불연속적 energy state 의 집합, 각 energy state는 전자가 한개만 존재할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각 state끼리 모여있느냐? 아니면 멀리떨어져있느냐?? 그래서 밀도를 알아보기로 했다. 왜 알아보느냐??는 뒤에 나온다. Density of State, D(E): (단위 부피당) 단위 에너지 간격당 존재하는 energy state 의 수. 열적 평형을 얘기해보자 열적 평형상태란 열적 선동이 존재할 때 // (0K이 아니면 존재한다고 본다, 상온에서 존재한다) 최소에너지를 갖는 상태를 말한다. 최소에너지라는 것은 공간적으로 균일한 에너지 및 농도가 분포하고 있다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