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위의 그림같이 일어난다. 용어부터 설명하자면 Caller는 callee를 부르는 주체 -> 함수를 부르는 routine을 말함. Callee는 Calling을 당하는 대상 -> 불려지는 함수를 말함 1. 메인 루틴에 $a0부터 $a3까지 argument register에 해당 파라미터를 가져다 놓음 -> 4개의 레지스터이므로 최대 4개까지의 파라미터를 보낼 수 있음. (Callee가 이용할 수 있게) 2. Caller가 Callee에게 제어를 넘김 -> 즉 Caller 루틴이 멈추고 Callee 가 실행된다는 말이다. 3. Callee가 실행되면 Callee가 필요한 자원들을 받기 위해 메모리를 할당 받는다. (보통 stack에 할당) 4. Callee 본연의 역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