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420

프로젝트 계획(9) - 정적 모델링(Modeling) + UML [소프트웨어공학]

이제야 정말 UML로 모델링을 해보려고 한다. UML에 대해서 알아보자 UML이란 Unified Modeling Language로 객체지향 모델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다시 말하면 객체지향 소프트웨어를 모델링 하는 표준 그래픽 언어라고 할 수 있다. ++UML은 객체지향 설계 표현방법의 표준으로 알려져있다. UML은 시스템의 설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여러가지 측면을 모델링하여 나타낼 수 있다. 클래스를 상세히 기술하는 것만은 이해하기 충분하지 않다. 모델링으로 여러 클래스가 어떻게 연관되어 있고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UML은 이를 가능케 한다. 위의 그림처럼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렇다면 저 오른쪽 UML 그림은 뭘까? 역시 그림이 제일 이해하기 ..

연산자 우선순위표, 논리 연산자 우선순위, 합성 명제 진리표[이산수학]

오늘은 논리 연산자 우선순위를 알아볼 것인데요. 또 코딩을 하나 할 것입니다. 합성논리연산 식을 넣었을 때 연산 결과가 바로 나오는 식 ++ 3가지 변수만 해놨고 더 하고싶으면 더 수정해서 하면 된다. 을 근데 이거 만드는데 1시간 넘게걸림... 오타를 못찾아서.. ㅠㅠㅠㅠㅠ C언어 가장 힘들 때가 오타 너무 라인이 길어져서 오타가 어딨는지 모르겠는거... 이거 만들면서 객체지향 너무 하고싶었어 ㅠㅠ 연산자 우선순위표를 쓰는 이유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합성 명제에 대해서 진리표 작성하려면 우선 순위 결정 2. 괄호는 가독성 떨어짐 3. 연산자 우선순위표 사용하면 가독성 올라감 다 각설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갑시다. 논리 연산자들의 순위는 전에도 봤지만 연산자 우선순위표를 미리 만들어봤습니다. 왼쪽..

프로젝트 계획(8) - 모델링(Modeling) + 객체지향 [소프트웨어공학]

계획 다 했으니 이제 정말로 형태를 갖춰가는 작업을 해야지?? 그게 모델링이다. 형태를 만드는 것 모델링이란 도메인 지식을 체계화 하는 과정으로 중요한 도메인 개념과 특성, 관계를 파악하여 다이어그램으로 정형화하는 것이다. 모델링은 개발팀이 응용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일종의 개념화 과정이다. 요구 추출과정에 의하여 수집된 도메인 개념과 정보는 분석되고 분류되어 UML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모델로 비주얼화 된다. 모델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개발자에게 도움을 주느냐? 1. 응용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 2. 개발팀원들 사이에 응용문제의 공통 개념으로 대화하게 하고 개선시킴 3. 파악한 개념을 사용자와 고객에게 전달 할 때 도움을 줌 4. 후속 작업 즉 설계, 구현, 테스팅, 유지보수에 개념적..

프로젝트 계획(7) - 사용 사례(Use case) [소프트웨어공학]

도메인 분석은 문제의 배경을 알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메인은 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고 했다. 다시 말해서 도메인 분석 자체는 모델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모델링을 위한 개념 이해화 정보 추출 작업일 뿐이었다. 우리는 모델링 하기 전 단계인 사용사례와 액터를 알아봐야 한다. 사용 사례란 시스템이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능을 말한다. 시스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작용의 단위로도 쓰인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또는 외부 시스템이나 기타 요소들이 시스템과 상호작용 하는 다이얼로그를 모델링 한 것이다. ex) 현금인출기의 현금 인출 시스템과 주고 받는 이벤트의 기록 == 사용사례 사용사례는 사용자와 시스템 설계자/테스트 프로그래머들이 의사 교환하는데 유용하게 쓰인..

프로젝트 계획(6-2) - 도메인 분석(Domain Analysis) [소프트웨어공학]

요구분석을 살짝 맛봤다 근데 항상 중요한게 문제도 중요하지만 문제가 생기게 된 배경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서 도메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도메인이란 간단히 말해서 요구의 배경을 말한다. 소프트웨어를 구축할 때 문제 자체도 중요하지만 문제가 어디에 놓여있는가도 중요하다. 즉 문제의 배경을 말한다. 도메인을 분석하는 이유는 설계 모델링에 필요한 여러 개념과 비즈니스 파악을 위함이다. 이러한 사항을 깊이 이해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된 설계를 할 수 없다. 도메인 분석에서는 응용 분야에 존재하는 개념을 잘 정의하고 분석해서 시스템에 존재하는 개념으로 정립하는 단계 다시 말해서 도메인 분석이란 요구의 배경을 이해해서 개발될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앞서 문제의 범위를 정했듯이 여..

반도체(11) Quasi Equilibrium, 유사 평형

앞에서 열적 평형에서 배웠지만 우리가 쓰는 반도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해주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했을 때를 배워야한다. 짧고 빠르게 배우자 Quasi-Equilibrium and Quasi-Fermi Level 과잉 캐리어가 존재할 경우에는, 평형상태가 깨져 있음을 의미한다. (np > ni^2) 이 경우에는 재결합과정을 통해서 다시 평형상태로 돌아가기는 한다 그렇지만 오랜 시간이 걸린다. (~1 us) **?? 저 시간이 오래걸리는거냐고? 우리가 쓰는 반도체는 logic, memory에 쓰이는 반도체가 있는데 얘네들은 동작 속도가 1ns~1ms이다. 그니까 상대적으로 오래걸리는 거지. **다행히도 전자와 정공 사이의 평형은 깨져 있더라도, 그들 자신끼리 빠르게 평형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고속..

반도체(10) Recombination, Generation 전자 정공 재결합 및 생성

전자 정공 쌍으로 생성되면서 항상 궁금했을 것 같은데 정공과 전자가 다시 재결합하는 것을 알아보자 먼저 용어설명부터 하자면 재결합(recombination) : 전자와 정공이 서로 만나서 사라지는 과정. Electron-Hole Recombination 평형상태 캐리어 농도 : 전자와 정공의 농도는 thermal equilibrium 상태에서의 즉 n0, p0 으로 평형 상태의 농도라는 것을 알려준다 빛을 비추거나 외부에서의 캐리어 유입이 있는 경우에는 평형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평형상태에서 벗어난 캐리어 농도를 과잉 캐리어 농도(excess carrier concentration)이라 한다. n ’와 p ’로 표시한다. 둘이 합치면 이런 식으로 표현된다. 평형상태에서 벗어나게되더라도 전하 중성에 의해..

반도체(9) Thermionic Emission, Tunneling, Space-Charge

드리프트, 확산 말고도 다른 전류가 흐르기도 한다. 주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아야 한다. 먼저 Thermionic Emission(열전자 방출)에 대해 알아보자 Thermionic emission(열전자 방출) : 이종의 반도체 사이에 에너지 장벽(energy barrier)이 있는 경우에 이를 넘어가는 전류성분. **열에 의해서 barrier보다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캐리어는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는 존재 확률은 낮지만 존재함 즉 T(온도)가 높을 수록 전자의 에너지가 많아지고, 그래서 barrier를 넘어갈 수 있다. 식은 외울 필요는 없지만 알고 넘어가자 T 가 중요 변수가 된다. Tunneling이 있다. 말 그대로 터널처럼 산을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뚫고 가는것..

반도체(8) Drift,Diffusion, 드리프트 전류 , 확산 전류

이제는 정말로 반도체와 직결되는 전류에 대해서 알아볼건데 드리프트와 확산에 의한 전류가 있따. 한 번 알아보자 우선 전류를 알아보기에 앞서서 참고해야할 사항이 있으니 가장 중요한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과 전압, 전기장의 관계를 알아야한다. 관계를 알려면 전압과 전기장부터 알아야한다. 전압 : 단위 양전하당 전기적 위치 에너지의 차이. 양의 전압은 양 전하의 위치 에 너지를 증가시키고, 음 전하의 위치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에너지 밴드는 전자를 기준으로 그린 것이기 때문에 양의 전압은 에너지 밴드를 아래쪽으로 낮춘다. 전기장(electric field) 은 이렇게 구한다. ** 전압의 정의를 알아야 구할 수 있다는 말이다. ㅎㅎ 저 식을 해석하자면 Ec의 기울기, Ev의 기울기 Ei의 기울기, 에너지 ..

반도체(7) Thermal,Drift,Scattering, 열운동,드리프트,충돌

이제 정말 반도체에 대해 복잡해지는 단계에 왔다. 천천히 가보자 Thermal Motion 열운동 : 전계를 가하지 않았을 때에도 캐리어는 멈추어 있지 않고, 열에너지에 의하여 유한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평균 운동 에너지(Average electron or hole kinetic energy) 는 당연하게 이렇게 구한다. 그렇게 구하고 속력은 이렇게 구한다 ** Vth 는 Thermal velocity라고 하는데 반도체 내에서 가장 빠른 속력이라고 할 수 있다. ++ 고체 속에서는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이란 것만 알아두고 넘어가자. ++ 위의 식에서 T(온도)와 Vth(속력)의 관계 알고가자 ㅎㅎ 그러면 어떻게 움직일까?? 전자와 정공은 열 속도로 움직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직선 형태로 운동하지 않..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