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자공학 33

반도체(7) Thermal,Drift,Scattering, 열운동,드리프트,충돌

이제 정말 반도체에 대해 복잡해지는 단계에 왔다. 천천히 가보자 Thermal Motion 열운동 : 전계를 가하지 않았을 때에도 캐리어는 멈추어 있지 않고, 열에너지에 의하여 유한한 운동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평균 운동 에너지(Average electron or hole kinetic energy) 는 당연하게 이렇게 구한다. 그렇게 구하고 속력은 이렇게 구한다 ** Vth 는 Thermal velocity라고 하는데 반도체 내에서 가장 빠른 속력이라고 할 수 있다. ++ 고체 속에서는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이란 것만 알아두고 넘어가자. ++ 위의 식에서 T(온도)와 Vth(속력)의 관계 알고가자 ㅎㅎ 그러면 어떻게 움직일까?? 전자와 정공은 열 속도로 움직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직선 형태로 운동하지 않..

반도체(6) Carrier in Semiconductor, 반도체의 전하 캐리어

이제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50%인 페르미 레벨도 배웠으니까 캐리어에 대해 공부해보자 전하 캐리어 분포 다이어그램이다. **4번째 그림에서 왜 전자가 가장 밑에 쏠려서 안정된 위치에 있는 것보다 조금 위에 전자가 더 많냐면 state가 Ec 조금 위에 몰려있어서 그렇다. 페르미 레벨을 다시 해석해보면 f(E) : 전자가 있을 확률 , 1-f(E) 전자가 없을 확률 = 정공이 있을 확률 이렇게 볼 수도 있다. 이제 가장 중요한 캐리어 농도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우선 들어가기 전 알아놓고 가자 Dc(E) dE : (단위부피당) E and E + dE 사이에 존재하는 energy state의 개수 f(E) Dc(E) dE : (단위부피당) E and E + dE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의 개수 단위 부피당 c..

반도체(5) Fermi-Dirac Distribution Function, 페르미 준위

Fermi-Dirac Statistics : 각 에너지 state에 전자가 존재할 확률을 의미 Ef : Fermi Level or Fermi Energy (전자 존재 확률 = 1/2) 통상적으로 fermi level을 기준으로 그 이하에는 전자가 차있고 fermi level이상에는 전자가 거의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림을 보면서 이해하자 * 열적 평형상태(Thermal equilibrium)에서의 페르미 준위 : 열적 평형상태에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단 하나의 페르미 준위만 존재한다. (페르미 준위가 기울어지거나 불연속적이지 않다.) 다시 말해서 모든 지점에 대해서 같다는 것이다. ** 볼츠만 근사한 페르미 레벨 구하는 공식은 꼭 알아야 한다. 증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2가지 물질이 있고 서로 전..

논리적 추론, 논리연산자,진리표 [이산수학]

논리적 추론이란 것을 알기 위해서는 용어부터 알아야 하지 않겠어? 정의(definition) 용어의 뜻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 *무정의 정의: 정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용어 문장(statement) 무정의 용어와 정의된 용어를 사용하여 만듦 명제(proposition) = prop 참이나 거짓 중 단 하나만 갖는 문장을 말한다. ** 대문자 P,Q,R로 많이 표현되고는 한다. 명제를 배우면 파생되는 용어들이 있지 진리값(truth value) 참과 거짓을 명제의 진리값이라 한다. **각각 T(또는 1), F(또는 0) 으로 표시한다 명제 변수(propositional variable) 진리값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임의의 명제 위에 것은 수학이랑 좀 달라보이는 감이 없잖아 있다. ..

반도체(4) DOS , Thermal equilibrium (열적평형)

DOS가 뭐냐 도스가 아니라 Density Of State 이다. 뭐 그냥 해석하면 상태밀도라는 것인데 저번에 말했다시피 불연속적 energy state 의 집합, 각 energy state는 전자가 한개만 존재할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각 state끼리 모여있느냐? 아니면 멀리떨어져있느냐?? 그래서 밀도를 알아보기로 했다. 왜 알아보느냐??는 뒤에 나온다. Density of State, D(E): (단위 부피당) 단위 에너지 간격당 존재하는 energy state 의 수. 열적 평형을 얘기해보자 열적 평형상태란 열적 선동이 존재할 때 // (0K이 아니면 존재한다고 본다, 상온에서 존재한다) 최소에너지를 갖는 상태를 말한다. 최소에너지라는 것은 공간적으로 균일한 에너지 및 농도가 분포하고 있다는 ..

반도체(3) 도핑(Doping), 유효질량(effective mass)

우선 도핑을 설명하기 전에 전도 전자와 정공을 다시 짚고 넘어가자 이 모든 설명의 큰 흐름은 에너지는 안정된 상태로 가려는 경향이 있다로 설명한다. 전도 전자의 에너지 중, Ec보다 큰 모든에너지는 전자의 운동에너지에 해당한다. 에너지의 기준을 어떤것으로 잡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전자와 정공은 전기장 내에서 가속됨으로써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결정 내에서 충돌로 인해 에너지를 잃을 수 도 있다. 전압의 정의: "양전하" 기준의 전기적 위치에너지 차이!! 즉 전압을 걸면 band가 내려가는 모양이 나온다. //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에서 전자는 밑으로 가려고하고 정공은 위로 도핑 이라는 것을 설명하기 전에 알고가자 진성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 라는 것은 도핑이 안 된 반..

반도체(2) 에너지 밴드 모델 (Energy band model)

에너지 밴드 모델 ( Energy band model) 왜 나왔느냐? 어떻게 반도체가 전기가 흐를 때가 있고 흐르지 않을 때가 있는지 이해하려고 나왔다. 전자들은 존재할 수 있는 state, 에너지 준위가 있다. 각 state에는 오직 전자 1개만 존재할 수 있다 (파울리 배타 원리) 정성적으로 이해하자면 저렇게 다수의 원자들이 접근하게 되면 전자들은 같은 에너지 상태를 가질 수 없어서 자꾸 저렇게 분할되어가지고 결국 띠를 만들게 된다는 것이다. 원자간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state가 저기 오른쪽 그림과 같이 에너지 준위의 집합 -> 밴드형성 이렇게 표현되는데 EC : conduction band의 최저에너지, EV : valence band의 최대에너지 저기 맨 오른쪽 그림을 보면 전자의 에너지를 기준..

반도체(1) Si (실리콘) 과 전자 정공

사실 반도체라는 것은 일종의 스위치다. Voltage-Controlled Current Source 전기가 흐르기도 하고 흐르지 않기도 하고 이러한 2가지 특징을 가진다. 이렇기에 반도체 산업은 부흥할 수 밖에 없다. 우리 모든 세상에 컴퓨터가 존재하는데, 그 컴퓨터는 트랜지스터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고 그 트랜지스터는 반도체가 재료가 된다. 전기가 통하면 1 , 흐르지 않으면 0 이것이 세상을 바꿨다. 실리콘은 Diamond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4족원소로 4개의 인접원자와 공유결합을 하며 **격자상수(lattice point) 는 5.43 Å **원자밀도는 5 ⅹ 1022 atoms/cm3 실리콘의 결정 구조를 표현할 때 밀러 인덱스( Miler index) 라고 쓰는데 격자면을 표시하기 위한 방..

배수판별, 소수판별,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C언어로 구현

1. 배수판별 프로그래밍 +++ q의 범위를 고치고 싶다면?? 어떠한 수라도 몫을 알고싶다면? 사실 q가 int로 되어있는 이상 q = m/n을 넣는다면 q는 몫이 됩니다. ㅎㅎ 저렇게 굳이 만들필요는 없지만, 정수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한 프로그래밍입니다. 2. 소수 판별 프로그래밍 ++ 잘 돌아가네요. 저기 4.58 seconds가 얼마나 올라가는지 측정해보고 더 좋은 알고리즘을 만들 수도 있겠죠. 3.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프로그래밍 소수를 걸러내는 방식입니다. 2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첫 번째 방법은 2번의 소수판별을 메서드로 바꿔서 소수만 출력하게 하는 것. 두 번째 방법은 특정한 범위가 있다면 ex)50 까지의 소수 배열을 이용해서 확인하는 것. 첫 번째 방법도 범위를 입력받아서 작동하게해도 ..

자연수와 정수의 정의 그리고 활용

자연수라는 것은 무엇일까? 수건 5장을 보면 무엇이 생각날까? 아마도 숫자 5가 생각 날것이다. 5는 수건 5개에 추상화된 개념을 생각해낸 것이다. 그렇다면 5는 무엇일까? 4 보다 하나 더 큰 수, 그렇다면 4는? 그렇게 내려가서 1은? 이러한 접근을 공리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하고 공리적인 방법은 기본 항과 공리들을 가지고 정의한다. *공리(axiom): 증명없이 참이라고 받아들이는 명제 자연수에 대한 공리 1. 1은 자연수 2. 각각 자연수는 오직 하나의 successor를 가진다 3. 1은 어떠한 자연수의 successor가 아니다 4. 만약 succ(x) = succ(y) 이면 x=y이다. 5. 만약 M이 다음을 만족하는 자연수들의 부분집합이면, M은 모든 자연수들의 집합이다. 1) 1는 M의 원..

728x90
반응형